기획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나에게 있어서 책을 만드는 것은 한 편의 시를 쓰는 것과 같다. 그리고 나는 언제나 ‘좋은 시’를 쓰려고 가슴앓이를 많이 한다. 어떤 저자를 만날지라도 독자의 마음 한 켠을 강하게 울리는 울림이 있는 책을 만들려고 한다. 나의 책 만들기 화두는 과학적으로 사유하되 시적으로 책을 만드는 것이다. 책을 만들어 놓고 그 책이 다시 나에게 말을 걸어올 때 나는 그 책을 좋은 책으로 생각한다.
좋은 시도 쓰고 나면 언제나 나에게 말을 걸어올 뿐만 아니라, 독자의 심장에 말을 건다. 그 정도쯤 되면 책도 자식이나 애인처럼 예뻐 보이고, 계속 만지고 싶어진다. 그런 것을 조용히 즐기다보면 컨셉, 제목, 홍보, 마케팅도 스스로 말을 걸어오는 것 같다. 나는 오늘도 책을 구성하는 분신들이 걸어오는 그 이야기에 귀를 쫑긋 세우고 있다.”
나는 이 말을 가장 사랑한다. 책을 만드는 과정은 정말 좋은 시를 한 편 쓰는 것과 같다. 나도 좋아하는 시인들의 시를 찾아 부지런히 읽어왔다. 그러나 그 좋은 시인들도 대중들이 보기에 다 좋은 작품을 남기느냐하고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 시인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한다. 자신의 마음 한켠에 울림이 와야 다른 사람에게도 울림을 전할 수 있다. 그 울림이 크고 대중적이어서 크게 사랑 받는 것은 시인의 모든 작품 중 몇 편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 사랑을 받는 사람도 시인도 드물다. 김소월, 한용운, 서정주 등이다.
그러나 시인에게 그 한 편 한 편은 모두 소중하다. 시인에게 있어 그 첫 울림은 개인적인 경험으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된다. 마음의 울림이 있었기에 그 첫 울림을 가지고 사상을 잡고 시의 첫 구절을 썼으리라. 그리고 구조와 뼈대를 세우고 그 뼈대와 구조에 긴장감이란 살이 붙고 의외성(낮설기하기)이란 피가 흘렀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 헐고 세우기를 몇 번, 또 읽기를 수백 번. 결국 마음에 걸리지 않아야 시인은 자기가 품은 시를 자기 품에서 놓아 주는 것이다.
시인의 가슴을 울리는 첫 번째 울림소리가 바로 콘셉트다. 이 울림소리에 귀를 잘 기울여야만 우리는 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다. 좋은 울림소리는 당연히 세상과 통하게 되어있다. 시인도 인간이고 이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첫 울림의 소리를 찾기 위해 먼저 시인(저자)에게 그 울림소리가 잉태한 비밀을 물어야 한다. 그 비밀은 무엇일까? 그 비밀을 알고 싶으면 언제나 그 첫 번째 질문은 이래야 한다. 왜 그 책을 꼭 써야만 했나요? 책을 쓴 동기다.
그 비밀을 제대로 포착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책의 승패는 결정 난다. 그러나 책을 만들고 파는 사람들은 갈수록 형식적인 프로세스에만 집착할 뿐 스스로 하나의 시인(저자)으로 돌아가 그 위치에 서 보지 않는다. 제대로 그 첫 울림의 느낌을 잘 잡아내기 위해서는 아마 수백 번, 때로는 수천 번 그 문턱을 오르락내리락 해야만 그 첫 울림의 소리를 귀신같이 잡아낼 수 있다.
그 첫 울림을 제대로 느끼게 되면 그게 너무 시기상조인지 그게 가짜(자기만족)인지, 변죽인지 깨달을 수 있다. 그 깨달음이 무언지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먼저 책을 기획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부분 그가 기획하는 것은 기존에 있는 것을 조금 비튼 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좋은 책을 기획한다는 것은 하나의 작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 말은 ‘나에게 있어서 책을 만드는 것은 한 편의 시를 쓰는 것과 같다.’라는 말 다음으로 좋아하는 말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 소중한 진리를 버리고 마구 기획을 한다. 마구 책을 만든다. 다 미친 짓이다. 나도 미친 짓을 했기 때문에 자꾸 반성이 된다. 그래도 나는 내 마음이 하나라도 느낄 때 그 책을 기획한다. 그리고 첫 울림이 있는 저자라면 프로필 같은 것은 한 줄도 쳐다보지 않는다. 그러나 책이 많아질수록 독자, 저자와 공명(共鳴)한다는 것이 어려워진다. 함께 울지 않는데 어떻게 좋은 책이 만들어지랴.
그러나 그 공명(共鳴)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때는 책 만들기를 잠시 중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는 많이 만들기보다 내가 만드는 책(어떤 책을 만들 때) 한 권을 통해서라도 그 첫 울림의 소리를 정확히 들으려고 혼신의 힘을 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책은 각기 그 울음소리가 있기 때문이다. 즐거움, 지식, 감동도 다 인간의 가슴속에서 울려나오는 울음의 한줄기다. 울림이 반복되다보면 울음이 되고 긴장감 있는 울음소리는 천만인의 가슴을 적신다.
책을 만들다보니 현 위를 그 울림의 소리가 타고 흐를 때, 그것을 자유롭게 부리는 사람이 나타날 때 그는 한 편의 시를 쓰듯 책을 만들 것이다. 그런 인재들이 많이 나타나서 새로운 세계와 시장을 열었으면 좋겠다.

다산의 꿈을 생각하며
내가 창업한 <다산북스>는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호 다산을 따다 지은 이름이다. 다산 선생의 애민정신과 실사구시정신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계승할 것인지 고민을 많이 했다. 내 스스로 정리한 개념은 애민정신은 책의 즐거움으로, 실사구시는 삶의 솔로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내리고 그런 철학이 담긴 책을 내려고 노력중이다. 그래서 다산북스의 미션은 ‘The joy of story_전 인류에게 스토리의 즐거움을 제공한다’다.
처음 출판사를 시작하기 전에 강진에 있는 다산 초당에 가서 다산 선생님께 약속한 것이 있다.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며 500여권의 책을 저술하신 것처럼 저도 출판사를 하게 되면 세상에 좋은 책 500권을 내놓고 싶다고 약속했다. 지금은 첫 걸음을 시작 한 지 11년째가 되어가고 있다. 내가 출간한 책은 어느새 1000권을 넘어 섰다. 지난 11년 동안 1000권의 책을 만들면서 기획에 대한 내 기본적인 신념은 더욱 강해졌다. 나의 기획에 대한 기본적인 신념은 아래와 같다.
“기획(마케팅)에 대한 나의 기본적인 신념은 제품을 많이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 활동 없이도 잘 팔리는 상품을 창조하는 것이다. 기획(마케팅)관리자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회(아직 충족되지 않은 욕구, 혹은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결책) 등을 알아내고, 그것으로 제품을 개발해 시장에서 성공하도록 전략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