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en life gives you lemons, make lemonade.
“삶이 당신에게 레몬을 준다면 그것으로 레몬을 만들어라”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레몬은 쓰고 셔서 못 먹는 것을 말하는데요. 인생이 나에게 쓰디쓴 시련을 주더라도 즙을 짜고 설탕을 넣어 시원하고 달콤한 레모네이드를 만들라는 의미입니다.
인생이 저에게 레몬을 던져 준 때가 있습니다.

저는 반지하에서 봉제공장을 하시는 부모님의 반갑지 않은 둘째 딸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께서는 출생신고도 하지 않으셨죠. 저는 4년이 지나는 동안 법적으로 존재하지도 않았습니다. 다행인지 무관심 속에서도 공부에는 소질이 있어서 대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입학합니다.
어떤 의사가 될까 고민할 때 제일 힘들고 소외되는 정신과 환자들을 돕고 싶었어요. 그래서 의대를 졸업하고 인턴을 마친 후 정신과 레지던트에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당연히 합격할 거라 생각했는데 떨어지고 맙니다. 그때는 그 레몬이 너무 썼어요. 붙을 줄 알았기 때문에 떨어지면 뭘 할지 준비도 하지 않았죠.
그래서 1년 동안 미국에 가기로 했습니다. 미국 의사 면허증을 따볼까 하는 가벼운 생각으로 아무 준비도 없이 젊은 패기 하나로 미국행을 택합니다.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이었죠.
열심히 준비해서 미국 의사 국가고시를 봤는데 100점 만점에 99점을 받았어요. 공부를 열심히 하긴 했지만 저도 엄청 놀랐습니다. 그래서 존스홉킨스의 교수로 취업하게 됩니다. 그때 제가 받았던 레몬을 다시 되돌아봤어요. 만약 제가 레지던트에 붙었다면 이런 기회는 영영 잡지 못했을 거예요.

“Everything is happening for you, not to you.”
모든 일은 그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위해 일어난다.
2017년, 인생은 저에게 두 번째 레몬을 줍니다. 저는 소위 ‘잘 나가는’ 인생을 살고 있었어요. 의사로서, 교수로서 인정받으며 결혼도 하고요.
41살이 되기 전날이었어요. 집에 가려고 운전을 하는 중이었는데 갑자기 등에서 통증이 느껴졌어요. 난생처음 느껴보는 통증이었습니다. 집에 가는 2시간 동안 통증이 온몸이 퍼지더니 오한이 일기 시작했고 집에는 가까스로 도착할 수 있었어요. 이날을 기점으로 두어 달 만에 저는 누워서 일어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맙니다.
명색이 제가 존스홉킨스 의사잖아요? 병원에서 모든 검사를 다 했어요. 그런데 검사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의사들이 그러더군요. 혹시 우울증이나 불안증 아니냐고. 15년 경력 정신과 의사인 저에게요. 저는 정말 죽을 만큼 아픈데 그들은 아니라고 하니 정말 힘들었어요. 그런 암흑의 시간이 6개월간 지속됩니다.

겨우 실마리를 찾아서 받은 진단이 자율신경계 장애, 신경매개저혈압이었습니다. 의학계에서는 아직 이 병증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요. 마땅한 치료법이 없는 난치병입니다. 진단은 나왔지만 답이 없는거죠.
당시 저는 어지럽고 토할 것 같아서 일어나 앉지를 못했어요. 2년 가까이 거의 침대에 누워서 지냈습니다. 서러웠어요. 직장도 1년 반을 쉬어야 했고 내 인생이 바닥을 쳤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장 힘들었던 것은 병적인 피로감이었어요. 밥을 먹고 나면 완전히 녹초가 되어 손가락 하나도 까딱할 수 없었습니다. 마치 오래 사용한 휴대폰 같았습니다. 배터리가 충전도 되지 않고 금방 방전되어 버리는, 10%밖에 남지 않은 휴대폰.
저는 모험을 좋아하고 에너지가 넘치던 사람이었어요. 그런데 하루 아침에 신의 장난처럼 완전히 반대되는 난치병을 얻은 거예요. 일상생활을 해내질 못했어요. 그래서 남편을 미국에 두고 어머니의 간호를 받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옵니다.
어머니의 간호로 조금 나아지면 제가 하루도 빼먹지 않고 하던 일이 있어요. 바로 걷기 연습입니다. 오늘 15분, 내일 20분… 매일매일 이를 악물고 연습했어요. 그런데 열심히 노력해서 30분 걷고 나면 그 다음날 병이 나서 몇 주 동안 움직일 수가 없는 거예요. 매번 그러니 정말 못 해 먹겠더라고요. 의지도 한계가 있지, 이를 악물고 걸었는데 다시 바닥에 주저앉고. 이게 반복되니 공들여 쌓은 것들이 무너지는 억울함에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Everything is happening for me, not to me.
And I will make lemonade out of these lemons”
그때마다 이 말을 생각했어요. 이 모든 어려움도 나를 위해 일어난 거라고. 이 쓰디쓴 레몬으로 꼭 레모네이드를 만들겠다고 나를 다잡았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 제가 인생에 쉼표를 얻은 것 같아요. 교수로, 의사로 정신없이 살아가다가 침대에 누워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작가의 길이 보였어요. 누워서도 볼 수 있는 컴퓨터를 샀고 그때부터 저의 첫 책 <마음이 흐르는 대로>를 집필하기 시작했습니다.
솔직히 이 병을 이긴 것은 아닙니다. 같이 살아가는 거죠. 이 병이 한번 아프면 몇 주, 길게는 몇 달씩 아프거든요. 힘겹게 버티고 있어요. 억울하고 속상할 때도 많아요. 그래도 누가 저에게 “아프기 전으로 돌아가고 싶으세요?”라고 물으면 저는 거절할 거예요. 이렇게 말하면 많은 분들이 거짓말이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 근데 저는 아프면서 배우고 깨달으면서 많이 성장했어요. 그래서 아프기 전의 나보다 아프고 난 후의 나를 더 사랑합니다. 아픈 건 괴롭지만요.

여기 두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 봅시다.
빛이 보이지 않는 어두운 터널과 같은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는 두 사람. 한 사람은 왜 나한테 이런 일이 벌어졌지? 저 사람 탓이야 하면서 절망하고 있고, 다른 사람은 이 고통 또한 나를 위해 존재하기에 꼭 달콤한 레모네이드를 만들겠다고 다짐합니다.
이 두 사람에게 똑같이 2021년이 주어졌습니다. 둘은 어떤 1년을 살게 될까요? 그리고 2021년의 마지막 날, 두 사람은 어디에 서 있을까요?
두 사람 중 어떤 사람으로 살아갈 건지는 여러분의 선택에 달렸습니다.
━
본 내용은 도서 <마음이 흐르는 대로>와 세바시 지나영 교수 강연을 인용,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