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중

90000리

이병천 장편소설

2011년 12월 15일 출간

콘텐츠 키워드

이 콘텐츠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미리보기 미리듣기 미리듣기

콘텐츠 소개

이병천 장편소설

『90000리』는 BC 1년부터 AD 1년까지, 고조선 유민이 신을 찾아 떠난 구만 리 여정을 그린 로드팩션이다. 나라를 잃은 이들이 서쪽 하늘에서 분화한 별 하나를 보고 유대의 땅으로 구만 리 여정을 떠난다. 유대의 땅을 향해 걷는 동이족 일행은 모두 열두 명. 그리고 이들을 뒤쫓는 한 제국의 호기군과 북군 군관 융커. 동이족의 목적은 신을 만나는 것이고, 융커의 목적은 신을 죽이는 것이다.

이 소설은 ‘왜 동방박사는 자신들의 나라 이름을 밝히지 않았을까? 미처 밝히지 못할 사정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스스로를 ‘하늘의 아들’이라고 부르던 예수와 자신들을 ‘하늘의 자손’이라고 믿었던 고조선. 동방박사가 동이족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에서 시작된 작가 이병천의 장르적 상상력은 전통적 소설기법으로 탄탄히 무장하고, 자칫 흥밋거리로 치부될 이야기 하나를 역사 속에서 실제하는 한 사건 속으로 끌어왔다. 『90000리』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움을 찾아나서는 한 중견작가가 선보이는 전혀 새로운 장르의 소설이다.

쫓는 자와 쫓기는 자들의 구만 리 여정. 그들은 길 위에서 서로를 향해 칼날을 벼리기도 동행을 선택하기도 한다. 서로의 목숨을 빼앗는가 하면 어느 순간 적을 위해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작가 이병천은 인간의 존재는 길 위에서 나약할 뿐이며 목적을 향해 걷는 인간의 고행을 90,000리라는 길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병천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동이족을 보여주면서, 버겁고 버거워 인생이 구만리라고 생각하는 우리에게 그 버거움이 바로 구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신을 만나러 가는 길, 인간은 신을 닮아간다.

“동방박사는 나라 잃은 고조선의 유민이었다”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동이족의 위대한 여정, 90000리
중견작가 이병천의 새로운 상상력, 역사에 대한 도발적인 해석

아름다운 문장과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자랑하는 중견작가 이병천이 새 장편소설 『90000리』를 출간했다. 동방박사가 예수를 경배하러 가는 동안의 여정을 담은 이 장편소설을 통해 데뷔 30년이 된 그가 느지막이 새로운 도전을 시도한다.
이병천은 81년 문단에 데뷔한 이래 『모래네 모래톱』 『홀리데이』 등의 소설집과 『마지막 조선검 은명기』 『에덴동산을 떠나며』 등의 장편소설을 펴내며 단단한 구성과 밀도 높고 수려한 문장으로 삶의 아득한 깊이와 사유를 독자에게 보여주었다. 그가 이제 새 장편소설 『90000리』를 통해 중견작가들에게서 흔히 볼 수 없는 파격적인 상상력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를 도발적으로 해석하여 전혀 새로운 소설의 영역에 도전한다.

시비의 빌미를 제공한 것은 물론 동방박사 그들 자신이었다. 그들은 왜 스스로를 기껏해야 동방에서 온 사람들이라고만 대답해야 했을까? 그들에게는 과연 어떤 말 못 할, 자격지심을 애써 숨기지 않으면 안 되는 사정이 있었을까?’ 이 소설은 바로 이런 의문들로부터 비롯되었다. _작가의 말에서

작가의 말처럼 이 소설은 ‘왜 동방박사는 자신들의 나라 이름을 밝히지 않았을까? 미처 밝히지 못할 사정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작가는 지도를 펼쳤다. 중국과 인도 그리고 페르시아…… 이들 나라 사람들이 예수를 경배했다면 나라 이름을 밝히지 못할 이유가 없었다. 그는 더 동쪽을 봤다. 유대의 땅에서 동쪽으로 90000리 떨어진 곳에서 눈길을 멈췄다. 그곳에 고조선이 자리 잡았던 땅이 있었다. 스스로를 ‘하늘의 아들’이라고 부르던 예수와 자신들을 ‘하늘의 자손’이라고 믿었던 고조선. 동방박사가 동이족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에서 시작된 작가 이병천의 장르적 상상력은 전통적 소설기법으로 탄탄히 무장하고, 자칫 흥밋거리로 치부될 이야기 하나를 역사 속에서 실제하는 한 사건 속으로 끌어왔다. 『90000리』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움을 찾아나서는 한 중견작가가 선보이는 전혀 새로운 장르의 소설이다.
이 소설을 쓰는 동안 이병천 작가는 주변 사람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아전인수라고 몰아붙이던 이들, 조선의 건국과 예수라니 소가 하품하겠다고 일축하던 이들, 구만 리라는 아득한 거리에 지레 겁을 먹던 이들, 심지어 ‘반지 원정대‘같은 성과에 굳이 비춰보려던 이들…… 무엇보다 신성모독을 언급하던 이들까지.” 그러나 이병천은 자신이 꿰어 묶어낸 여러 구슬들을 실제 역사의 한 장면과도 같이 꼼꼼히 형상화해냈다.

“별 하나가 우리를 이끌었습니다. 아주 먼 동쪽 끝에서부터……”
폭압에도 굽히지 않았던 고조선 유민의 100년, 그리고 마침내 내려온 신탁

『90000리』는 BC 1년부터 AD 1년까지, 고조선 유민이 신을 찾아 떠난 구만 리 여정을 그린 로드팩션이다. 90000리 여정은 BC 1년 한 제국의 수도 장안에서 시작한다. 이 시기는 고조선이 한 제국에 의해 멸망한 지 10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후이며 고조선 유민들이 남하하여 고구려, 백제, 신라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때다. 한 제국의 영토는 나날이 확장되어갔다. 작가는 『90000리』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을 고조선이 멸망할 무렵에 부흥운동을 펼쳤던 이들의 후손으로 설정했다. 이들이 사는 곳의 지명은 ‘여우난골’이다. 이는 작가가 평소에 좋아하는 백석의 시에서 지명을 따온 것이다. 소설에 등장하는 동이족들은 온갖 핍박을 견디며 나라를 되찾기 위해 긴 시간 노력한다. 한 제국에게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이기에 언제나 특별한 감시를 받고 살아간다.

만약 그렇다면 새 별의 탄생 역시 하늘의 뜻이어야 하리라. 다만 하늘이 그 빛을 풀어 어느 곳을 비추는가가 중요했다. 유감스럽게도 그게 조선의 옛 땅은 아니었다. 그런데 하필 자신들의 당에서 별의 탄생이 훤히 바라보인 건 도대체 무슨 조화란 말인가? _38쪽

BC 1년의 어느 날, 동이족은 목성의 뒤쪽으로부터 별 하나가 분화하는 것을 발견한다. 제사장 부르암은 이를 신탁으로 받아들이고 별이 분화한 땅으로 가고자 마음을 먹는다. 언제나 한 제국과 맞서 싸우자고 주장하는 젊은 그리메는 ‘별’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는 ‘하늘이 나라를 내린 게 아니고, 그래서 하늘이 나라를 되찾게 해주지도 않는다’고 생각하며 한 제국과 맞서 싸우길 바랐다. 그러나 한 제국의 수도 장안에서 열린 가악제전에서 신탁을 지키기 위해 부르암이 목숨을 잃는 것을 본 그리메는 마음을 바꾸고 별이 분화한 서쪽으로 향한다. 유대의 땅을 향해 걷는 동이족 일행은 모두 열두 명. 그리고 이들을 뒤쫓는 한 제국의 호기군과 북군 군관 융커. 동이족의 목적은 신을 만나는 것이고, 융커의 목적은 신을 죽이는 것이다.

작가는 또한 본 이야기 뒤에 따로 붙이 새로운 텍스트 ‘후기’ 부분에서 소설적 허구를 실제 역사와 접목시키는 작업을 시도한다. 후기 부분은 동이족 일행이 구만 리 먼길을 다녀간 지 이천년이 지난 시간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여자 주인공 ‘달하’가 들고 다녔던 청동거울이 베들레헴 시내의 한 우물에서 발견되어, 이를 탄소동위원소 측정을 통해 BC 1년과 AD 1년 사이의 물건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낸 보고서를 소개한다. 그리고 짐짓 의뭉을 떨며 예수의 기적과 이성계의 몽금척 설화를 연결한다. 마지막까지 작가는 소설적 허구에 대하여 시치미를 떼며 ‘금척의 전설은 그렇게 완성되었다.’고 마침표를 찍는다. 때문에 소설 전체는 하나의 신화처럼 보이기도 한다. 소설 전체에 흩어져 있던 허구를 ‘후기’ 부분에서 마치 퍼즐조각처럼 맞추어 역사와 연결시키면서 허구와 사실의 경계를 허물어뜨린다.

신을 향해 걷는 동안 인간은 신을 닮아간다
역사 속으로 사라진 동이족, 하늘의 자손들이 펼치는 90000리 대서사시

작가 이병천은 각 등장인물의 심리를 세세하게 묘사했다. 쫓기는 자와 쫓는 자의 심리를, 사랑을 하는 사람의 심리와 이를 멀리서 지켜보는 이의 심리를, 칼을 드는 자와 칼을 막는 자의 심리를,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이와 자신의 나라를 빼앗은 나라에서 부역하는 자의 심리를. 그는 구만 리 여정을 걷는 동안 변화하는 인간들의 심리를 묘사하고 길 위에 풀어냈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이런 심리를 바탕으로 무협이나 판타지 등의 장르적 요소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구만 리 여정을 흥미진진하고 박진감 넘치게 끌어간다.

“그럴 줄 알았어요. 나라를 되찾으려고 하죠? 언젠가는 그렇게 될 거예요. 아주 오랜 후에, 전과 똑같은 이름의 나라를 갖게 될 거예요. 언니들 손자의 손자, 그 손자의 손자, 까마득한 손자들 얘기니까 기다리진 마시구요. 그리고 나중에 그 나라는 지금 이 그림과 아주 비슷한 무늬로 나라의 상징을 삼게 될 거예요.” _237쪽

『90000리』의 첫 장면은 동이족의 예수 경배 장면이다. 그리고 그들이 경배하러 오기까지의 과정이 시간의 흐름대로 펼쳐진다. 장안에서 옥문관을 통해, 유대의 땅까지 걷는 고조선 유민. 그 중간에는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고, 파미르 고원, 그들의 목숨을 노리는 도적이 있다. 동이족 일행은 자연과 싸우며 한 제국의 호기군을 피하여 별을 향해 서쪽으로 걷는다. 그리고 마침내 예수를 만나 그의 목숨을 구한다. 그러나 그들이 당장 얻을 수 있거나 이룰 수 있는 것은 없다.

쫓는 자와 쫓기는 자들의 구만 리 여정. 그들은 길 위에서 서로를 향해 칼날을 벼리기도 동행을 선택하기도 한다. 서로의 목숨을 빼앗는가 하면 어느 순간 적을 위해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작가 이병천은 인간의 존재는 길 위에서 나약할 뿐이며 목적을 향해 걷는 인간의 고행을 90,000리라는 길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90000리』는 신의 나라가 전부만이 아님을 알려준다. 작가는 에덴동산이나 유토피아가 중요한 게 아닌, 그곳으로 가는 길과 과정이 중요한 것임을 나라를 잃은 동이족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90,000리 대장정을 떠나 예수를 만난 고조선 유민들은 끝내 자신들의 나라를 되찾지 못했다. 그들은 목숨을 잃었고, 사랑을 잃었다. 그러나 그들은 구만 리를 걷는 동안 구원을 얻었다. 이병천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동이족을 보여주면서, 버겁고 버거워 인생이 구만리라고 생각하는 우리에게 그 버거움이 바로 구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신을 만나러 가는 길, 인간은 신을 닮아간다.
  • 쪽수: 302쪽
  • ISBN: 9788963707365

목차

  • 금척

    BC 1년

    옥문관

    누란

    타클라마칸

    파미르

    AD 1년

    유대


    – 더 읽어야 할 이야기

    후기

    연대기

    작가의 말


더보기